명령형 함수형 차이

    [Kotlin] 리스트를 통한 명령형 방식과 함수형 방식 비교

    코틀린의 리스트는 명령형 방식과 함수형 방식을 모두 제공한다. 함수형 방식으로 작성하는 경우 고차 함수를 체이닝 하면 명령형 프로그래밍에서 for와 if문을 사용해서 작성하는 로직을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리스트의 값을 제곱하여 10보다 작은 첫 번째 값을 리턴하는 함수를 명령형으로 작성해보자. fun imperativeWay(): Int { val bigIntList = (1..10000000).toList() var firstSquare = 0 for (value in bigIntList) { val doubleValue = value * value if (doubleValue < 10) { firstSquare = doubleValue break } } return firstS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