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전체 글

    [Kotlin] runCatching

    runCatching은 코틀린 1.3 버전부터 지원된 캡슐화 블록으로 블록의 실행 결과가 Result의 형태로 리턴된다. 또한 실행 결과에 따른 프로퍼티, 함수들을 사용하여 유연한 이벤트 스트림으로 처리하여 가독성 있는 코드를 구현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runCatching 예시 val name: Result = runCatching { //String을 리턴하는 작업 "JMJ94" }.onSuccess { it: String -> it }.onFailure { tr: Throwable -> println("$tr") } runCatching은 실행 결과에 따른 프로퍼티를 제공한다. isSuccess runCatching 블록의 실행이 별문제 없이 성공한다면 result는 true고 문제가 발생한 경우..

    [Android] Activity와 Fragment

    Activity Activity는 안드로이드의 컴포넌트 중 하나로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담당하는 단일화면으로 위 이미지와 같은 Lifecycle을 갖는다. Activity의 생성부터 종료되기까지 일련의 모든 이벤트들에 대한 콜백을 지원해주기 때문에 상황에 맞는 로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이점을 통해 각 상태별로 리소스를 관리 포인트를 고려하여 메모리 누수에 대한 위험을 방지해야 한다. Activity LifeCycle의 각 콜백에 대해 알아보자 onCreate() - 시스템이 Activity를 생성할때 실행하는 콜백으로 해당 Activity가 실행되면서 한 번만 실행해야 하는 로직들을 이곳에 구현하면 된다. 예를 들면 View 바인딩 작업이나 ViewModel을 연결하는 작업들이 이곳에서 이루어지면 ..

    [Android] URI, URL

    URI URI는 특정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합 자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 웹 기술에서 사용하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 리소스를 식별하는 고유한 문자열 시퀀스. URL URL은 흔히 웹 주소라고도 하며,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리소스가 어디 있는지 알려주기 위한 규약. URI의 서브셋이다. 요약하면 URI는 식별하기 위함이고, URL은 위치 정보이다.

    [Android] Vector 이미지

    Android 스튜디오에서 SVG(Scalable Vector Graphic) 파일을 Vector 리소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Vector Asset Studio 도구를 제공한다. Vector 이미지를 사용하면서 얻는 이점은 여러 해상도에 대응할 필요 없이 하나의 이미지로 화질 손실 없이 다른 화면 밀도에 맞게 크기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리소스로 관리로 인한 앱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Android 4.4(API 20) 이하의 기기에서는 Vector 리소스 사용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하위 호환에서 문제가 생길 여지가 있다. Vector를 사용하는 것은 단순한 아이콘 표현에 적합하다. 왜냐하면 다른 리소스 표현 방식보다 처음 이미지를 로드할때 CPU 사이클이 더 소모되기 때문에 최대 200 X..

    [Android] left, top, right, bottom

    Canvas를 통해 bitamp을 다루는 작업을 하다가 Rect 클래스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left, top, right, bottom의 개념에 대해 혼동하는 부분이 있어 정리해보게 되었다. 이 개념은 View에 대한 좌표 혹은 크기를 정의할 때 사용되는데 각자 어떻게 정의되는지 그림을 그려봤다. Canvas 좌표계에선 [0,0] 부터 시작하는 특징이 있고, 각각 값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 left : view 시작점의 x 좌표 top : view 시작점의 y 좌표 right : view 종료점의 x 좌표 bottom : view 종료점의 y 좌표

    [Android] two-way binding 형식 지정하기

    EditText에 데이터 바인딩을 적용하면서 입력되는 문자를 특정 형식으로 바로 변환해주고 싶었다. 해서 Converter라는 Object 클래스를 만들고 아래와 같은 함수를 만들었다. object Converter{ @JvmStatic fun stringWithFormat( value: String? ): String { return value?.moneyFormat() ?: "" } } 위 함수를 EditText의 속성에 databinding으로 적용해 보았다. 실행 결과는 에러이고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The expression 'yourpackage.util.Converter.stringWithFormat(vmAmountGetValue)' cannot be inverted, so it cann..